CULTURE

봄처럼 포근했던 코멘토 개발팀의 4월 세미나

최수빈 프로필 이미지

최수빈

2025.07.07

8 min read

봄처럼 포근했던 코멘토 개발팀의 4월 세미나

안녕하세요, 코멘토 개발팀의 최수빈입니다.

따뜻한 봄바람이 불어오던 4월, 코멘토 개발팀은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특별한 세미나 지식공유해봄 🌸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유독 포근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는데요. 기술적인 이야기뿐 아니라, 각자의 고민과 경험, 요즘 관심사를 자연스럽게 공유할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라이트닝 토크 세션을 새롭게 도입하면서 더욱 다채롭고 생동감 있는 시간이 되었는데요. 하나씩 돌아보며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 코멘토 개발팀에 뉴 페이스 등장!

세미나의 문을 연 건 바로 상우님과 기훈님, 두 인턴분의 첫 인사 시간이었습니다. 팀에 새롭게 합류한 두 분이 각자의 이야기로 첫 인사를 전해주셨어요.

상우님은 본인의 장단점과 함께 최근의 고민과 취미, 앞으로 배우고 싶은 것들을 솔직하게 풀어주셨습니다. 특히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는 말이 인상 깊었어요. 혼자 끙끙대지 않고, 잘 묻고 잘 부탁하는 것도 중요한 개발자의 역량이죠!

기훈님은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중 건강상의 이슈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되면서, 개발이라는 매력적인 세계에 발을 들이게 되었다고 해요. 직접 서비스를 만들고, 비대면으로도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고 합니다. 특히 비즈니스 이해력을 키우고 싶다는 포부가 인상 깊었습니다. 두 분 모두 다시 한 번 환영합니다! 🎉


⚡ 라이트닝 토크, 짧지만 강렬하게!

이번 세미나부터는 새롭게 라이트닝 토크 세션이 추가되었는데요! 5분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코멘토 개발팀만의 미니 발표 시간입니다. 첫 라이트닝 토크에서는 총 2개의 주제가 소개되었어요.

🎯 수빈 - 바둑처럼 복기하는 삽질 이야기

저는 최근 Flutter 버전 업데이트 도중 발생한 iOS 웹뷰 터치 불가 이슈를 해결하는 과정을 복기해 보았습니다. 바둑 복기처럼 되짚어보며 어떤 선택과 판단을 했는지 공유했어요.

iOS 웹뷰 터치 불가 이슈는 macOS와 Xcode를 함께 올린 후 발생했으며, 실제로는 iOS 18.2 이상 버전에서만 나타나는 문제였어요. 의심되는 원인을 하나씩 좁혀가다 결국 Flutter 엔진 레벨의 버그라는 사실에 도달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Flutter 3.29.0 버전까지 올리며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포크한 웹뷰 패키지를 다시 업데이트하거나, 네이버 로그인 패키지 수정, Android 빌드 오류(ProGuard 관련) 등 다양한 이슈를 겪기도 했어요. 개발자라면 공감할 수 있는 '버전의 늪'을 함께 나눠봤습니다. 😵‍💫

🌀 문범 - macOS 인코딩 지옥 탈출기

문범님은 macOS 15.4로 업데이트한 후 PhpStorm에서 한글 쿼리 스트링이 깨지는 이슈를 겪은 경험을 공유해주셨어요. 단순히 IDE 문제인 줄 알았지만, macOS의 시스템 인코딩 처리 방식이 변경되며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여러 시도를 거쳤지만 완전한 해결에는 이르지 못했고, 결국 향후 macOS 또는 PhpStorm의 패치에 의존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결론에 도달했다고 해요. 그럼에도 문범님은 다양한 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점검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문제 접근 방식을 정리해주셨고, 비슷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함께 고민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본격 지식 공유 세션

라이트닝 토크에 이어, 더 깊이 있는 기술 이야기들이 이어졌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생산성과 자동화, 그리고 개발자의 AI 활용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어요.

🧠 동훈 - Cursor AI는 신이다

동훈님은 최근 개인 생산성을 극대화해준 도구, Cursor AI에 대한 사용 경험을 공유해주셨어요. Cursor는 코드 자동완성 도구를 넘어서, 코드베이스를 자동으로 인덱싱하고, 별도의 문맥 설정 없이도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AI 개발 도구입니다.

동훈님은 Cursor를 사용하며 특히 단위 테스트 작성, 스타일링, 리팩토링, 에러 디버깅 등 반복적인 작업을 훨씬 빠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고 해요. GitHub MCP 기능과 연동해 PR 리뷰와 QA 시나리오 생성까지 자동화한 사례도 소개해 주셨습니다.

📌 동훈의 생산성 팁:

  • Context 인식과 공식 문서 주입 기능을 적극 활용하면 답변 품질이 향상돼요!
  • 반복적이고 구조화된 작업엔 Tab 기능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 Cursor Rules를 프로젝트에 맞게 설정하면 코드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원규 - JetBrains IDE에서 로컬 AI 실험기

원규님은 JetBrains IDE에 로컬 AI 모델을 적용한 실험기를 공유해주셨습니다. Cursor를 도입하기엔 익숙한 IDE 환경을 벗어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한 대안이었어요.

LM Studio를 사용해 로컬 모델을 연동했고, 일부 자동완성 기능에서 실용적인 성능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해요. 물론 메모리 제약으로 인한 성능 저하 등 한계도 있었지만, JetBrains AI Pro 같은 상용 클라우드 기반 모델과 함께 활용하면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인사이트를 전해주셨습니다.

🛠️ 종석 - SVG 최적화 자동화 만들기

종석님은 작은 불편에서 출발해 실용적인 자동화 도구를 만든 경험을 공유해주셨어요.

코멘토에서는 아이콘과 이모지 등 SVG 파일을 자주 사용하는데, 어느 날 SVG를 교체하자 앱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은 Figma에서 Export한 SVG에 포함된 NaN 값 때문이었죠.

처음에는 SVGOMG를 수동으로 사용했지만, 수작업의 불편함을 느껴 AWS S3 + Lambda를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SVG 업로드 시 자동으로 최적화되도록 처리해 반복 작업을 줄이고 실수를 방지하는 깔끔한 해결책이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이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이번 4월 세미나는 정말 제목 그대로 ‘봄처럼 포근한’ 시간이었습니다. 인턴분들의 따뜻한 자기소개부터,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술 이야기, 그리고 업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도구와 실험까지! 다양하고 풍성한 이야기들이 가득했어요.

코멘토 개발팀은 이렇게 매달 새로운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음 세미나에서는 또 어떤 흥미로운 주제가 기다리고 있을지 벌써부터 기대되네요.

그럼, 다음 세미나에서 또 만나요! 👋🌷


커리어의 성장을 돕는 코멘토에서 언제나 함께 성장할 개발자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채용 페이지에서 코멘토가 어떤 회사인지, 어떤 사람을 찾는지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